- 클래스풀 (Classful IP Addressing)
- 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뉜다.
- *IP 주소
- 서로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
- *네트워크 주소
- Host 들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범위를 지정하여 관리하기 위해 만듦
- 같은 네트워크는 같은 네트워크에 있다는걸 의미, 자유롭게 통신 가능
- *호스트 주소
- 호스트를 관리하기위한 것
- 네트워크 안에 고유 번호 같은 것
===
- IPv4는 A, B, C, D, E 총 5개의 클래스로 네트워크 주소체계를 구분 지을 수 있음
- 크기에 따라 구분되어짐
- D, E 는 잘 사용되지 않음.(D는 멀티캐스트 통신, E는 예비용)
- 옥텟의 크기에 따라 A, B, C 구분가능
- *옥텟: IPV4 주소체계 (32비트) 를 8비트씩 .(점)을 통해 나뉘어지는데 각 8비트 한개당 옥텟임
- 0, 10, 110 처럼 첫 옥텟의 0자리를 보면 될듯.
- 구분하는 기준 옥텟을(1~3) 서브넷마스크라고도 함
- 앞자리 1바이트 1개 클래스 A
- 01111111.11111111.11111111.11111111 (127.255.255.255)
- 3개의 옥텟을 호스트아이디로 할당가능 약 1600만개
- 앞자리 1바이트 2개 클래스 B
- 10111111.11111111.11111111.11111111 (191.255.255.255)
- 2개의 옥텟을 호스트아이디로 할당가능약 6만5천개
- 앞자리 1바이트 3개 클래스 C
- 11011111.11111111.11111111.11111111 (223.255.255.255)
- 1개의 옥텟을 호스트아이디로 할당가능약 254개
- 할당가능한 갯수는 총 갯수에서 -2 를 해야함
- IP 주소공간은 0~255 사이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음.
- 0 과 255는 특정 아이디가 예약되어 있기때문에.
- 0.0.0.0는 일반적으로 전체 네트워크를 의미하며,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이 이 주소를 사용하여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트래픽을 라우팅하는데 사용됨.
- 255.255.255.255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, 네트워크 내 모든 호스트들에게 패킷을 전송하는데 사용됨.
-*기타: 127.0.0.1 은 루프백 주소라 하며, localhost 와 동일하다.현재 컴퓨터에 있는 프로세스 트래픽을 전달한다.
- 클래스풀 문제점:
- 크기로 할당되어있다보니 어중간한 크기의 네트워크 할당 갯수를 맞추려면 여러 네트워크를 구성해야하거나, 필요치 보다 큰 네트워크 구성을 가져가서 낭비하는 ip들이 많아지게 됨.
'WEB & NETWORK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래스리스, 서브넷마스크, 서브네팅 간략히. (0) | 2023.01.19 |
---|---|
IPv4 vs IPv6 차이점과 누가 더 빠를까? (0) | 2023.01.18 |
L3, L4 스위치(Switch) 등 간략히 (0) | 2023.01.15 |
TCP/IP 4계층, 3 way handshake, 4 way handshake (0) | 2023.01.15 |
네트워크 토폴로지 그리고 LAN, MAN, WAN 간략히 (0) | 2023.01.1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