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네트워크 보다보면 l3, l4 스위치라는 말을 자주하게되는데 간략히 알아보자.
- 스위치?
- 영어단어 그대로 바꾸는걸 말한다. 패킷을 어느쪽으로 보내주는 역할(스위치 장비)
- 여러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중재,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.
- 네트워크 7계층을 나눠보면 각 계층을 하나하나의 layer 라 부르기도 한다.
- l7 스위치
- l7 즉 layyer 7 애플리케이션 계층, 로드밸런서라고도 함(서버 부하 분산 기기) 정직적인 헬스체크를 이용하고 감시함
- l7, l4 스위치 차이
- 로드밸런서는 l7, l4 스위치도 존재, l4 스위치는 인터넷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로 스트리밍 관련 서비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.
- l4 는 ip 와 port 기반으로 트래픽을 분산하는 반면, l7는 ip, port, url, http 헤더, 쿠키 등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분산함.l7(Application Load Balancer Component), l4(Network Load Balance) Component 라고도 함
- l4 스위치
- l4 즉 layyer 4 전송 계층. ip + port 정보를 보고 스위칭.
- l3 스위치
- l3 즉 layyer 3 네트워크 계층. ip를 보고 스위칭
- l3 스위치를 라우터라 해도 무방(*라우터: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구분해주는 역할,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때 패킷 소모를 최소화하고, 최적의 경로를 포워딩 하는 라우팅을 하는 장비)
- l2 스위치
- l2 즉 layyer 2 데이터 링크 계층. mac 주소 테이블을 통해 관리, 패킷 전송
- ip 주소를 이해하지 못해, 단순히 패킷의 mac 주소를 읽어 스위칭 하는 역할
layer 가 높아질 수록 비싸짐. 우스갯 소리로 layer 뒤에 숫자 * 1백만 원이였나..천차만별이겠지만 쉽게 그렇게 이해하면 될듯.
참고로 상위 layer 는 하위 스위치 기능을 포함 한다.
'WEB & NETWORK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래스리스, 서브넷마스크, 서브네팅 간략히. (0) | 2023.01.19 |
---|---|
클래스풀 (Classful IP Addressing) (0) | 2023.01.18 |
IPv4 vs IPv6 차이점과 누가 더 빠를까? (0) | 2023.01.18 |
TCP/IP 4계층, 3 way handshake, 4 way handshake (0) | 2023.01.15 |
네트워크 토폴로지 그리고 LAN, MAN, WAN 간략히 (0) | 2023.01.1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