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- require, check, assert 함수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코틀린 오류를 처리할 수 있다.
- 하지만 예측하지 못한 상황을 나타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, 가능하다면 이럴 때 코틀린이나 자바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표준 오류 클래스를 사용하면 좋다
- 표준오류코드: IllegalArgumentException, IllegalStateException, IndexOutOfBoundsException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예외 클래스
개인생각:
- 대부분 저렇게 사용하고 있고, 도메인마다 메인으로 처리하는 exception 클래스가 따로 있는 경우도 있어, 개발자 들끼리의 약속만 잘 정해져 있으면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라고 생각함.
- 고객에게 노출되는 코드 제외하고 표준오류 코드도 괜찮다고 생각함
728x90
'공부 > 이펙티브코틀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템 8 - 적절하게 null 을 처리하라 (0) | 2024.04.04 |
---|---|
아이템 7 - 결과 부족이 발생할 경우 null 과 Failure 를 사용하라 (0) | 2024.03.31 |
아이템 5 - 예외를 활용해 코드에 제한을 걸어라 (0) | 2024.03.31 |
아이템 4 - inferred 타입으로 리턴하지 말라 (0) | 2024.03.31 |
아이템 3 - 최대한 플래폼 타입을 사용하지 말라 (0) | 2024.03.31 |
댓글